빈대 머릿니가

빈대 머릿니가 고인류학의 寶庫? DNA 통해 인류 이동 알려줘

빈대 머릿니가 고인류학의 寶庫? DNA 통해 인류 이동 알려줘

빈대 머릿니가 고인류학의 寶庫? DNA 통해 인류 이동 알려줘

기후변화 대응에 리더십 표명한 한국 예산은 뒷걸음질

‘초가삼간 태운다’는 속담으로나 알던 빈대가 전국에 출몰하고 있다.

인류가 출현하면서 시작된 흡혈 기생충과의 악연(惡緣)이 21세기까지 이어졌다.

과학자들은 악착같이 인간에 들러붙는 기생충을 이용해 인류의 역사를 추적하고 있다.

머릿니로 유럽인의 아메리카 이주를 추적하고, 바이킹의 몸속에 있는 편충으로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인류의 이동을 확인했다.

고인류의 화석이 없어도 기생충 흔적만 있으면 인류사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머릿니 통해 아메리카 이주사 재구성

미국 플로리다대의 데이비드 리드(David Reed) 교수 연구진은 지난 8일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전 세계에서 채집한 머릿니(학명 Pediculus humanus)의 DNA를 분석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인류가 이주한 두 가지 경로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머릿니는 날개가 없고 숙주의 두피를 뚫고 피를 빨아먹는 기생충이다. 머릿니는 숙주마다 다르다.

사람에 기생하는 머릿니는 오직 사람 두피에만 산다. 사람이 만나면 머릿니도 옮겨갈 수 있다.

머릿니를 통해 사람들이 만나고 이동한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리드 교수와 미국 농무부 농업연구소의 마리나 에스컨스(Marina Ascunce) 박사는 온두라스와 프랑스,

르완다, 몽골 등 전 세계 25개 지역에 사는 사람들에서 머릿니 274마리를 채집했다.

앞서 연구진은 머릿니의 세포핵에 있는 D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유전적 연관성이 있는 두 집단이 확인됐다.

한쪽은 아시아와 중앙아메리카의 머릿니였고, 유럽과 아메리카의 머릿니가 다른 집단을 이뤘다.

DNA는 시간이 가면서 일정한 속도로 돌연변이가 발생한다.

연구진은 머릿니 DNA의 돌연변이 역추적해 언제 서로 다른 지역의 머릿니 사이에 교잡이 이뤄졌는지 추적했다.

연구진은 온두라스와 몽골의 머릿니가 유전적으로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은 2만3000년 전에 아시아계

사람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퍼지면서 머릿니도 함께 퍼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유럽과 미국, 멕시코, 아르헨티나의 머릿니들의 유전적 연관성도 확인했다.

돌연변이를 역추적했더니 약 500년 전 아메리카 원주민의 머릿니와 유럽인의 머릿니가 교잡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유럽인이 아메리카 대륙에 식민지를 개척하면서 머릿니도 함께 퍼진 것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의 미켈 빈터 페데르센(Mikkel Winther Pedersen) 교수는 사이언스지 인터뷰에서

“인간의 DNA가 고고학 유물이 없는 상태에서 머릿니가 인간의 이동과 상호 작용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페레르센 교수는 인간 숙주는 피를 나누지 않아도 머릿니끼리는 교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람이 함께 모여 상품을 거래했지만 혼인 관계는 맺지 않은 사례도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영국 레딩대의 알레한드라 페로티(Alejandra Perotti) 교수는 이번 연구가 흥미롭지만,

머릿니의 채집 지역이 다양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프리카에서 잡은 머릿니는 한 마리밖에 없었고 남미의 머릿니도 적어 전 세계에서 머릿니가 어떻게 연관됐는지 추론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또 머릿니의 DNA 중 극히 일부만 해독한 점도 아쉬운 부분으로 지적됐다.

연구진은 곧 머릿니의 전체 유전자를 해독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