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닮은 도플갱어

어딘가에 있을지 모르는 나를 닮은 도플갱어, 나와 유전자를 공유한다?

나를 닮은 도플갱어; 독일에는 우리나라처럼 여러 미신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와 비슷한 미신으로 별똥별이 떨어질 때 소원을 빌면 그 소원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미신이 존재한다.

또한 여러 행운과 불행을 상징하는 미신들도 많은데, 특히 숫자 ‘7’은 행운을 상징하며, ‘13일의 금요일’은 불행을 상징한다.

[ 켄타로우스 변이 오미크론 감염자도 켄타로우스 변이에 재감염될 수 있다 ]

사람의 외모에 관한 미신 중, 불행의 대명사로 여겨지는 ‘도플갱어’라는 미신도 존재한다.

도플갱어는 Doppel(독일어로 ‘둘’이라는 뜻)과 Gänger(독일어로 ‘다니는 사람’이라는 뜻)의 합성어로,

본인과 똑같이 생긴 사람이 지구 어딘가에 돌아다니는 것을 의미하는데,

만약 친구의 도플갱어를 본다면 그 친구는 심각하게 아플 것이며 자신의 도플갱어를 본다면 결국 죽게 된다는 미신이 있다.

나를 닮은 도플갱어

도플갱어는 이러한 미신에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즉, 쌍둥이는 아니지만, 자신과 매우 닮은 사람을 뜻하는 용어로 쓰인다.

실제로 우리나라에도 많은 닮은꼴 연예인들이 공개되어 화제가 되고 있으며, 때로는 인종이 달라도 매우 닮은 외모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소프트웨어도 구별하기 힘든 도플갱어

애틀랜타에 사는 찰리 체이슨(Charlie Chasen)과 마이클 말론(Michael Malone)은 놀랄 만큼 닮아있지만, 일란성 쌍둥이는커녕 심지어 친척도 아니다.

체이슨의 가족과 조상은 스코틀랜드와 리투아니아 출신인 반면, 말론의 가족과 조상은 도미니카 공화국과 바하마 출신이다.

이들은 갈색 머리, 수염이 나는 위치, 안경과 같은 대략적인 외모뿐 아니라, 코의 구조, 광대뼈 그리고 입술의 모양과 같은 세세한 특징까지 매우 닮아 있다.

실제로 둘의 외형은 실제로 너무 비슷하여 얼굴 인식 소프트웨어로도 구별하기가 어려우며, 소프트웨어들조차도 이들을 일란성 쌍둥이로 구분하기도 한다고 한다.

도플갱어는 유전의 영향일까? 환경의 영향일까?

과학자들은 실제로 오랫동안 인간의 도플갱어가 어떻게 탄생하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품어왔다.

예전부터 일란성 쌍둥이보다 더 닮은 사람들이 발견될 때, 이는 유전의 영향인지 양육 환경의 영향인지 학자들마다 다른 의견을 보이곤 했다.

최근 진행된 흥미로운 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도플갱어’들은 아마도 DNA가 상당수 비슷할 것이라고 한다.

지난주 Cell Reports 저널에 발표된 이들의 연구는 우리가 모두 저마다의 도플갱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이유에 관한 타당한 근거를 찾고 있다.

과거에 쌍둥이에 관한 연구를 주로 진행하던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Josep Carreras Leukemia Research Institute 마넬 에스텔러 박사(Dr. Manel Esteller)가 이끄는 연구팀은

가족 관계가 아니면서 서로 닮은 사람들에 관해서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연구 결과를 통해서 무엇이 이들을 이렇게 비슷하게 보이는지 과학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서로 비슷한 외형을 지녔지만,

생물학적으로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사람들이 유전적인 유사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유전적 유사성을 가진 사람 중 많은 사람이 비슷한 체중, 비슷한 생활 방식, 흡연 여부 및 심지어는 교육 수준까지도 유사한 행동 특성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는 유전적 변이가 외모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는 일부 습관 및 행동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해 주는 결과이다.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이들은 과학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흥미롭게도 예술을 이용했다.

위 연구의 공동 저자인 캐나다 출신 예술가 프랑소와 브루넬레(François Brunelle)는 오래전부터

“나는 닮지 않았습니다(I’m not a look-alike)”라는 사진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는데,

위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닮은꼴을 가진 32쌍(n = 64)의 참가자를 준비했다.

연구팀은 닮은꼴들에 DNA 테스트를 요청했으며, 각자의 삶에 관한 설문지의 작성도 요청했다.

이와 동시에 과학자들은 세 가지 다른 얼굴 인식 프로그램에 이들의 사진을 넣어서 비교했는데,

그들이 모집한 사람 중 16쌍은 일란성 쌍둥이와 유사한 점수를 받을 정도로 매우 닮아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어떤 소프트웨어들은 도플갱어들을 일란성 쌍둥이들보다도 더 높은 외모 유사도로 인식한다는 점이었다.

다른 16쌍은 사람의 눈으로 충분히 닮았지만, 알고리즘 상으로는 다른 외형을 가진 사람으로 기록되었다.

>>> 추천사이트 보러가기 <<<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