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첫 손님 카이로스페이스 큐브위성
누리호 첫 손님 카이로스페이스 큐브위성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실전 발사의 ‘첫 손님’으로 우주에 간 큐브위성이 한반도 지표면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국내 큐브위성이 지구 영상을 촬영해 임무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우주 기업 카이로스페이스는 자체 개발한 큐브위성 ‘KSAT3U’가 이달 7일 경남 사천과 통영
일대를 촬영해 지상국으로 전송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5월 누리호가 발사된 지 약 3개월 만이다.
이번에 촬영한 영상은 흑백으로 가로 57㎞, 세로 32㎞ 면적을 찍은 것이다.
해상도는 30m 크기 물체를 분간할 수 있을 정도다. 애초에 태풍 ‘카눈’을 촬영하려고 했지만,
카눈의 경로가 동해 쪽으로 향하면서 사천과 통영 일대를 촬영한 것으로 전해졌다.
KSAT3U는 22㎜ 편광카메라를 탑재해 기상 현상을 관측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크기는 3유닛(1유닛은 가로와 세로, 높이 10㎝)에 무게는 2.86㎏이다.
KSAT3U는 하루 두 번만 한반도를 지나간다. 다만 편광카메라로는 낮에만 촬영할 수 있어
하루 한 차례만 한반도를 찍을 수 있다. 카이로스페이스는 앞으로 백두산 천지와 한라산 백록담 등 다양한 지역을 촬영할 계획이다.
신경우 카이로스페이스 대표는 “큐브위성으로 획득한 영상자료를 국내 관련 기관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독자 기술로 우주발사체 개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는 1.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 상공 600~800km 태양동기궤도에 직접 투입할 수 있는 3단형 발사체이다.
사용되는 엔진은 75톤급 액체엔진과 7톤급 액체엔진으로 1단은 75톤급 엔진 4기를 클러스터링해서
구성하고, 2단에는 75톤급 엔진 1기, 3단에는 7톤급 엔진 1기가 사용된다.
한국형발사체(누리호)는 설계, 제작, 시험 등 모든 과정이 국내 기술로 개발되었다.
누리호 개발 사업은 1단계에서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과 7톤급 액체엔진 연소시험, 2단계 목표인 75톤급
액체엔진 개발과 시험발사체 발사(2018)에 성공했다. 시험발사체는 75톤급 액체엔진의 비행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75톤급 액체엔진 1기로 구성된 1단형 발사체로 우리나라는 시험발사체 발사 성공으로 세계 7번째로 75톤급
이상의 중대형 액체로켓엔진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그 후 75톤급 엔진 4기를 하나로 묶는 클러스터링
기술이 적용된 1단 종합연소시험을 수행했으며, 2021년 10월 21일 누리호 1차 비행시험이 진행되었다.
이후 2022년 6월 21일 2차 비행시험을 통해 누리호 발사에 성공하였으며, 2023년 5월 25일 3차 발사가 진행되었다.
우주발사체 핵심 기술 확보
누리호는 설계부터 제작, 시험, 발사 운용까지 모든 과정을 우리 독자 힘으로 수행하는 첫 번째 프로젝트다.
누리호 개발의 핵심 중 하나는 추력 75톤급 액체엔진과 누리호 전체 부피의 70~80%를 차지하는 연료와 산화제를 담는 추진제 탱크 개발이다.
75톤급의 중대형 액체엔진은 나로호 개발 당시 선행연구로 진행한 30톤급 액체 엔진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을 진행해,
연소불안정 현상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지상 연소시험과 시험발사체 발사를 통한 비행성능 시험을 거쳐 세계 7번째로 중대형 액체엔진 개발에 성공했다.
또한 지름이 3.5m에 달하지만,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는 2~3mm 정도에 불과해
설계와 제작에서 많은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던 대형 추진제 탱크를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
그리고 나로호 개발 당시 엔진 핵심 구성품에 대한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시험설비가 없어
해외 시험설비에 의존했었지만 현재는 나로우주센터에 엔진 핵심 구성품, 엔진 시스템,
추진기관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을 완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