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에서 주목할 키워드 ‘LULUCF’
온실가스 감축에서 주목할 키워드 ‘LULUCF’
브라질 아마존 열대우림과 베트남 난빈 지역의 맹그로브 숲은 거대한 양의 온실가스를 흡수해오면서 ‘지구의 허파’로 불린다.
이런 탄소 저장소 역할을 하는 숲이 탄소 산림 벌채로 인해 파괴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원이 되고 있다.
전 세계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기 중 탄소를 흡수하는 산림 같은 흡수원을 잘 가꾸고 늘려나가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인벤토리(탄소흡수량에 대한 정보)에서 ‘토지이용, 토지 이용변화 및 임업(LULUCF)’의
온실가스 측정 신뢰도·정확도를 담보한 데이터를 확보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온실가스 배출원 지표 중 ‘LULUCF’ 데이터 정밀도 높여야
올리아 글레이드 온실가스 관리연구소 이사는 지난 28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전 지구적 이행점검(GST)
전망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 현황’을 주제로 열린 ‘제14차 국제 온실가스 학술회’에서
“온실가스 배출원 주요 지표 중에서도 국가 산림의 탄소 배출원 역할을 하는 산림 부문 온실가스의 정밀 데이터를 토지이용,
토지 이용변화 및 임업(LULUCF)을 고려해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학회는 전 세계의 파리협정 목표 이행 경과를 종합한 결과를 비롯해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국가별 세부 이행방안과 시사점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됐다.
GST는 파리협정의 목표 이행 경과와 진전사항을 전 지구적 차원에서 점검·평가하기 위한 절차로 올해를 시작으로 5년마다 시행된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은 지구 지표 온도 상승을 유발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인해 2011~2020년 지구 표면 온도는 1850~1900년보다 1.1도 상승했다.
온실가스를 구성하는 주범으론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가 꼽혔다. 온실가스 주요 배출원으로는
에너지, 산업, 건축, 농업, 산림, 토지사용 등 인간의 다양한 활동이 꼽혔다.
이렇게 배출된 온실가스는 인간을 포함한 육상, 대기, 해양, 빙권 등에서 광범위하게 극한 기후변화를 일으켰다.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데이터를 확보할 때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적하는 것 외에도
산림과 기타 식물의 탄소 흡수를 통해 대기에서 제거되는 이산화탄소 지표도 포함해야 한다.
산림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배출원이자, 흡수원이기도 하다.
LULUCF는 토지이용, 토지지용변화 및 임업 분야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을 평가하는 체계로,
인간의 토지 이용에 따라 변화되는 온실가스의 증감을 의미한다.
기후변화 협약에 따라 모든 당사국들은 국가 탄소배출량을 제출할 때 선진국·개도국 구분없이 LULUCF 부문에서의 배출량을 포함시켜야 한다.
이 측정 기준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가이드라인에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LULUCF 측정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국가가 온실가스를 얼마나 감축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LULUCF 수치의 정확도를 높인 ‘온실가스 인벤토리(목록)’ 구축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글레이드 이사는 “온실가스 배출원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인 LULUCF 측정 정확도가
높아져야 한다”면서 “온실가스 주범인 이산화탄소 측정 오차는 8%인데
반해 산림이나 임업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측정 오차는 70%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예컨대 숲은 탄소의 흡수원이기도 하지만 벌목 행위를 통한 탄소의
배출원이 될 수도 있어 이를 합하거나 뺀 배출 계수의 정확도를 높여야 진정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의 통합성·완벽성·정확성을 높였다고 볼 수 있다”면서
“온실가스배출 수치에 대한 데이터 정합성을 높일 수 있는 국제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