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킹 폐지한 메타 논란 가짜뉴스 거르는 과학적 해법은
팩트체킹 폐지한 메타 논란 가짜뉴스 거르는 과학적 해법은
DJI드론처럼 오래 날았다 초소형 로봇 1000초간 날갯짓
국내 정치 갈등과 혼란이 지속되면서 ‘가짜뉴스’ 공방도 더욱 치열해졌다.
국내 정치권의 경우 가짜뉴스가 특정 지지층을 집결해 국민 통합을 방해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최근 유행인 메타뉴모바이러스(HMPV)가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을 재현한다’
‘LA산불로 할리우드 간판이 불탔다’ 등 도 넘는 가짜뉴스가 기승을 부린다.
전세계 과학자들은 10여년 전부터 사회 문제로 떠오른 가짜뉴스를 걸러내기 위한 방안을 찾는 데 머리를 맞대고 있다.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법, 사람의 판단에 의존해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방법 등이 주로 연구됐지만
최근에는 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의 AI 알고리즘 연구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메타, ‘정치적 편향성’ 논란 팩트체킹 프로그램 없앤다
지난 7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을 운영하는 미국의 빅테크 메타가 “미국 내 게시물에 대한 제3자
‘팩트체킹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팩트체킹 프로그램은 사람의 판단에 의존해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대표적인 방식이다.
메타는 2016년부터 전세계 기관과 계약을 맺고 팩트체크 전문가들이 직접 게시글을 검토해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알고리즘이 가짜뉴스일 확률이 높은 게시글을 전문가에 제공하면 전문가가 일정한 기준에 따라 게시물이 가짜뉴스인지 판단해 게시물에 ‘경고’ 딱지를 붙인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팩트체킹 프로그램 운영 중단에 대해 “팩트체크 전문가들이 정치적으로 너무 편향됐고 오히려 신뢰를 떨어뜨렸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최근 보도를 통해 메타의 이같은 결정이 옳은지에 대해 과학자들의 갑론을박을 소개했다.
전문가가 일부 가짜뉴스 원본을 걸러내면 가짜뉴스 대다수를 차단할 수 있다는 게 팩트체킹 프로그램의 핵심 아이디어다.
소수의 이용자가 가짜뉴스 대다수를 생산한다는 연구결과가 근거로 작용했다.
대표적인 연구가 니르 그린버그 이스라엘 벤구리온대 소프트웨어 및 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2020년 미국 대선 기간 60만 명 이상의 미국 유권자 표본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다.
연구결과 엑스를 통해 가짜뉴스의 80%를 퍼뜨린 ‘슈퍼공유자(Supersharer)’는 전체 사용자의 1% 미만인 2000여 명에 불과했다.
메타의 이번 결정에 과학자들이 의구심을 제기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샌더 반 데르 린덴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는 2019년 2만명의 SNS 사용자를 대상으로 메타의 팩트체킹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미
가짜뉴스에 노출된 사람도 팩트체킹 프로그램에 의해 가짜뉴스를 덜 믿게 되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에 공개했다.
메타의 팩트체킹 폐지 결정은 팩트체킹 프로그램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의 가짜뉴스를 더 많이 걸러낸다는 비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제이 밴 바벨 미국 뉴욕대 교수는 “보수적인 성향의 가짜뉴스가 SNS에 더 많이 퍼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이 걸러지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신뢰성 높은 AI 알고리즘 연구로 수렴”
메타는 팩트체킹 프로그램 대신 엑스의 ‘커뮤니티 노트’와 유사한 기능을 추가한다는 방침이다.
커뮤니티 노트는 논란이 되는 게시물을 삭제하거나 걸러내는 대신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게시물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공개적으로 제시해 사실을 검증하는 기능이다. 대중의 판단에 의존해 가짜뉴스를 걸러낸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커뮤니티 노트, 팩트체킹 프로그램처럼 인간의 판단에 의존하는 방식은 편향성으로 인해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반 데르 린덴 교수는 “커뮤니티 노트의 경우 가짜뉴스가 널리 퍼진 뒤에 사용자들이 의견을 게시글에 추가하기 때문에 커뮤니티 노트는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데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
게시글에 특정 집단이 몰려가 편향적인 의견을 제시할 수 있고 가짜뉴스를 보고도 특정 표현이나 문장에 현혹돼 가려내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