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혁신이 답이다 국제 협력으로 촉진하는 장수 연구

과학적 혁신이 답이다 국제 협력으로 촉진하는 장수 연구
과학적 혁신이 답이다 국제 협력으로 촉진하는 장수 연구
건강한 노화를 향한 연구개발(R&D)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들이 속속들이 나타나고 있다.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회복시키는 재생의학에서부터 정신건강 치료, 암 백신에 이르기까지 최첨단 기술들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미래 헬스케어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 20일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 서울 호텔에서 열린 제12회 한-스위스 생명공학 심포지엄에서는 한국과 스위스의 전문가들이 모여 노화 관련 최신 연구와 기술을 공유했다.
두 나라 전문가들은 고령화 사회에서 ‘건강한 노화’를 실현하기 위해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한목소리를 냈다.
발표자 중 한 명인 이주호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노화로 초래되는 질환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로 재생의학을 꼽았다.
그는 줄기세포 치료와 세포면역치료를 대표적인 사례로 들며, 이 기술이 암 치료에 있어서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암세포를 인식하는 CAR(키메라항원 수용체)를 결합한 ‘CAR-NK 세포치료제’와 같은 맞춤형 치료법은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빠르게 진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화는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스위스 취리히대학교의 비르기트 클라임 교수는 삶 전반에서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를 다루기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소개했다.
그는 수면 기반의 치료법과 함께 인공지능(AI), 확장현실(XR)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치료 도구들이 정신건강 관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며, 특히 한국의 IT 기술과 융합했을 때 더욱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스위스의 글로벌 제약사들도 건강한 노화를 위한 혁신적인 기술을 공개했다.
로슈코리아의 헤일리 정 임상운영총괄은 암 백신이 인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언급하며,
환자의 면역 체계를 겨냥한 맞춤형 암 백신 기술이 향후 중요한 치료 옵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사용 중인 항암 면역치료와 암 백신의 결합이 더 높은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부연했다.
전문가들은 국제 협력의 중요성 또한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알레산드로 마체티 바젤대학교 혁신 및 기업가정신 책임자는
삼성전자와 스위스 스타트업 보트뉴로가 알츠하이머 진단 솔루션을 공동 연구한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과 스위스는 서로 보완적인 강점을 가진 파트너로서 글로벌 헬스케어 문제 해결에 협력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크리스티나 백 노바티스코리아 혁신 및 글로벌사업개발 책임자 역시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을 통한
협력 생태계가 기술 개발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강조하며, 산학연이 연계된 국제적 협력이 연구를 가속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행사에서 공유된 내용을 통해 우리는 건강한 노화를 위한 전 세계적인 협력과 혁신적 접근법이
미래 의료의 핵심이 될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과 스위스가 공동으로 만들어갈 헬스케어의 미래가 기대된다.
텍스트 재작성하는 방법: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