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술 경쟁 지도 속 한국 AI 우주 등 4대 분야 중간 점프 중

글로벌 기술 경쟁 지도 속 한국 AI 우주 등 4대 분야 중간 점프 중
글로벌 기술 경쟁 지도 속 한국 AI 우주 등 4대 분야 중간 점프 중
접착제 없는 혁신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초강력 결합 기술 개발
한국의 바이오, 양자, 우주 등의 핵심 신흥 기술 분야 경쟁력이 주요국 평균 수준에 그친다는 평가가 나왔다.
반도체 산업에서의 강점(5위)이 전체 순위를 25개국 중 5위로 올렸지만, 총점에서는 1위인 미국과 2위 중국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AI(9위), 바이오(10위), 양자(12위), 우주(13위) 등 개별 분야에서도 주요 선도국들과 큰 격차를 보였다.
미국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산하 벨퍼 센터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하며, 올해 처음으로 핵심 신흥 기술에 관한 국가별 순위를 매겼다.
AI 분야에서 뒤처진 한국
한국은 이번 조사에서 총점 20점을 기록하며 종합 순위 5위에 올랐다.
하지만 이는 1위 미국(84.3점) 또는 2위 중국(65.6점)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반도체가 전체 비중의 35%로 가장 크게 반영된 순위에서 한국은 미국, 중국, 일본, 대만에 이어 5위를 차지했다.
특히 반도체 설계 및 제조 부문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장비 부문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한편 AI 부문에서는 독일, 영국, 프랑스, 인도 등에 밀려 9위를 기록했다.
AI 관련 총점은 14.1점으로, 1위 미국(90.8점)과 2위 중국(58점)과의 격차가 두드러졌다.
이번 평가는 AI 모델 정확도, 데이터 활용 능력, 컴퓨팅 성능, 알고리즘, 인적 자원 등 총 8개 지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는데, 한국은 AI 모델 정확도에서 0점을 받았다.
특히 미국 스탠퍼드 대학이 발표한 'AI 인덱스 2024'에서 한국에 자체 AI 모델이 없다고 간주한 점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LG AI연구원 측은 스탠퍼드의 자료가 최신 정보를 반영하지 못했다고 지적하며, 자사가 개발한 AI 모델 ‘엑사원 3.5’가 포함된 ‘AI 인덱스 2025’에서는 다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한국이 알고리즘 개발 지표에서도 낮은 점수를 받은 것은 뼈아픈 부분이라고 보고 있다.
구글과 오픈AI처럼 AI 알고리즘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지 못하고 미국산 알고리즘을 변형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현실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벨퍼 센터는 한국이 생성형 AI 기술에서 경쟁력이 약하며, 기업들의 투자 감소와 AI 전문 인력 부족 현상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부가 인공지능 기본법이나 첨단산업 인재혁신특별법 등을 통해 인재 육성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해외 인재 영입이나 국내 인재 유출 방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다.
조사 결과 한국의 AI 인재 지표 점수는 2.6점으로 미국(19.1점), 중국(20점), 유럽(17.6점)과 큰 격차가 있었다.
점점 벌어지는 격차
한국은 반도체를 제외한 나머지 네 개 분야에서 모두 10위 전후의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바로 뒤를 따르는 경쟁 국가들과의 점수 차가 작아 앞으로 순위 하락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다.
최상위권인 미국과 중국과의 격차는 더 벌어질 수 있고, 후발 국가들에는 추월당할 위험이 있다는 우려다.
특히 바이오와 양자, 우주 기술에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이전 정권에서 ‘3대 게임 체인저’ 기술로 선정되었던 AI, 바이오, 양자 분야는 현 정부에서도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