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의 무지 느끼는 유인원 모르면 가르쳐준다

동료의 무지 느끼는 유인원 모르면 가르쳐준다

동료의 무지 느끼는 유인원 모르면 가르쳐준다

동료의 무지 느끼는 유인원 모르면 가르쳐준다

양자 기술의 사이드킥 AI 더 정확하게 더 쓸모 있게

보노보가 상대의 정보 유무를 인지해 행동을 달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지식 격차를 감지하는 능력이 인간에게만 존재한다는 기존의 통념을 뒤집는 발견이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사회·인지적 기원 연구진은 유인원이 다른 사람의 무지를 느낄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3일(현지 시각) 발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인간의 지식에 따라 달라지는 보노보의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실험을 했다.

보노보 3마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먼저 한 명의 연구자가 간식(포도 또는 시리얼)을 세 개의 컵 중 하나 아래에 숨겼다.

이 때 보노보와 마주 앉은 연구자는 간식이 어디에 숨겨졌는지 보기도 하고, 보지 못할 때도 있었다.

이후 연구자는 “간식이 어디 있지?”라고 보노보에 물은 후 10초 동안 기다렸다.

실험 결과 마주 앉은 연구자가 간식을 숨기는 과정을 본 경우, 보노보는 가만히 앉아서 기다리기만 했다.

반면 연구자가 간식을 숨기는 과정을 보지 못한 경우, 보노보는 간식이 숨겨진 컵을 가리켰다.

한 보노보는 연구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컵을 여러 번 두드리기까지 했다.

연구에 참여한 크리스 크루페니 존스홉킨스대 심리학 및 뇌과학 교수는

“인간 뿐만 아니라 유인원도 공통적으로 풍부한 정신적 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이러한 능력은 인간과 유인원이 공통 조상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유인원이 인간과 비슷한 공감 능력과 사회적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는 많다.

에리카 카트밀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는 유인원이 사람처럼 동료들과 장난을 치며 사회적 유대감을 쌓는 과정을 관찰했다.

카트밀 교수는 “놀이는 동료들과 어울리며 사회적 유대감을 쌓는 행동으로 이는 울음소리,

표정과 같은 표현을 동반한다”며 “이번에 관찰된 행동은 일방적으로 다른 동료를 도발하거나 놀리는 데 목적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탈리아 연구진은 1990년 원숭이가 특별한 동작 없이도 다른 동료나 사람의 행동을 보고 똑같은 신경세포가 활발히 움직이는 것을 발견했다.

이후 이 신경세포는 ‘거울 뉴런(mirror neuron)’으로 불리게 됐는데, 영장류 모두가 이 거울 뉴런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허재원 국가영장류센터장은 “그동안 협력자로서 소통하는 인간과 달리 침팬지는 경쟁자로서 소통한다고 여겨졌지만,

이번 연구는 모든 영장류가 그렇지는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Read more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앞으로 기상청이 북극항로 우주방사선에 대한 특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북극항로를 비행하는 항공기의 승무원 및 승객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줄

By 관리자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4일, 양자물리학이 허용하는 최대 정밀도 수준에 도달한 길이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By 관리자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줄기세포 연구 교훈 일본의 의료혁명 vs 한국의 잃은 20년 조선비즈 장윤서, 류현정, 이정아 기자가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한국과학기자협회는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의 수상작으로 조선비즈의 기획 시리즈 ‘53.9%, 나는 고령 장애인입니다’를 포함한 5개의 기획 보도를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