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자극으로 새로운 색을 경험하다 색맹 치료의 가능성

망막 자극으로 새로운 색을 경험하다 색맹 치료의 가능성

망막 자극으로 새로운 색을 경험하다 색맹 치료의 가능성

망막 자극으로 새로운 색을 경험하다 색맹 치료의 가능성

K2-18b에서 포착된 생명체 분자 우주 생명 탐사의 새로운 전환점

사람이 한 번도 본 적 없는 색을 본다면, 그 색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미국의 과학자들이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와 워싱턴대의 연구진은 18일, 현지 시각으로,

우리의 자연 환경에서는 절대 볼 수 없는 색을 어떻게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시연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되었습니다.

사람이 다양한 색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은 눈의 망막에 있는 특정 세포 덕분입니다.

이 세포들은 빛의 파장에 따라 L, M, S세포로 나뉘며, 각각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빛에 반응합니다.

우리가 보는 대다수의 색은 이 세 세포가 동시에 자극을 받아 생성되는 것이죠.

그러나 자연광에서는 M세포가 단독으로 활성화되는 일이 없습니다.

바로 이 점 때문에 M세포만으로 만들어지는 색을 본 적이 없는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M세포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고, 레이저를 통해 오직 M세포만 자극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오즈라고 불립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기존 방법으로는 절대 볼 수 없는 Olo라는 색을 만들어냈습니다.

얼핏 보기에는 푸른 기운이 감도는 초록색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연구진에 따르면 이 색은 그 어떤 전례 없는 선명한 청록색이라고 합니다.

이 색은 화면이나 그림으로 표현할 수 없고, 오직 실험 장치를 통해서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실험에 참가한 5명은 굉장히 강렬하고,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색이었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렌 응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특별한 색이 탄생할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실제로 직접 본 순간 정말 감탄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색맹이나 다른 시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색을 더 잘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아직 밝혀지지지 않은 눈과 뇌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새로운 색이 정말 새로운 것인지에 대한 논란은 존재합니다.

존 바버 시티세인트조지런던대 교수는 망막 세포를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것은 기술적 성과라 할 수 있지만,

새로운 색깔을 발견했다는 주장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L세포가 대량으로 자극되면 진한 빨간색이 보일 수 있지만,

그 밝기는 세포의 민감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와 유사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Read more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앞으로 기상청이 북극항로 우주방사선에 대한 특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북극항로를 비행하는 항공기의 승무원 및 승객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줄

By 관리자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4일, 양자물리학이 허용하는 최대 정밀도 수준에 도달한 길이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By 관리자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줄기세포 연구 교훈 일본의 의료혁명 vs 한국의 잃은 20년 조선비즈 장윤서, 류현정, 이정아 기자가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한국과학기자협회는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의 수상작으로 조선비즈의 기획 시리즈 ‘53.9%, 나는 고령 장애인입니다’를 포함한 5개의 기획 보도를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