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 취급에서 벗어나라 외국인 체류자에게 진정한 통합 필요

손님 취급에서 벗어나라 외국인 체류자에게 진정한 통합 필요
손님 취급에서 벗어나라 외국인 체류자에게 진정한 통합 필요
다음에는 대본을 읽는 것보다 자연스럽게 눈맞춤하며 발표하면 더 좋을 것 같아요.
매주 월요일,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의 주간회의가 끝난 후, 다른 연구실에서는 보기 어려운 흥미로운 장면이 펼쳐진다.
외국인 박사과정 학생들이 한국인 학생의 영어 발표를 듣고 피드백을 주는 시간이다.
이들은 문법과 발음뿐만 아니라, 단어 선택, 발표 방식 등을 하나하나 세심하게 짚어준다.
지난달 13일 IBS에서 만난 구본경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은 처음에는 영어 발표를 부담스러워하던 한국 학생들이
1~2년 뒤에는 국제 학회에서 무리 없이 발표하고, 수상을 통해 성과를 내는 모습을 보며 영어 실력과 학문적 자신감이 함께 자라는 것을 느낀다고 했다.
구본경 단장이 이끄는 IBS 유전체교정연구단은 다양한 국적과 언어를 가진 연구자들이 모인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연구실 중 하나다.
구 단장은 한국의 포스텍과 서울대를 거쳐 네덜란드 후브레흐트연구소,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와 같은 세계적인 연구 기관에서 경험을 쌓았다.
이후 2021년 IBS에 합류해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다국적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한국으로 유치하는 데 힘써왔다.
현재 연구팀에는 인도 출신의 프라즈왈 왈케, 중국 출신의 청 멍웨이, 네덜란드 출신의 토마스 클롬프스트라와 같은 다양한 국적의 박사과정생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IBS 연구실의 환경에 대해 영어를 중심으로 원활히 운영되며, 실험 장비와 공간, 정교한 관리 시스템이 세계적인 수준이라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특히 클롬프스트라 연구원은 구 단장의 연구실이 한국에 있지만, 유럽의 연구 시스템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며 문화적으로 수평적이고 소통이 자유로운 분위기를 강조했다.
그러나 연구실 밖에서는 상황이 사뭇 달라진다. 외국인 연구자들이 한국에서 가장 먼저 겪는 문제는 비효율적인 행정 시스템이다.
왈케 연구원은 IBS에서 인턴으로 일한 후
박사과정에 지원했을 때를 회상하며, 지원 과정이 얼마나 번거롭고 비효율적이었는지 설명했다.
서류를 이메일로 제출할 수 없다는 이유로 국제우편으로 보내야 했고, 입학이 확정된 후에도 추가 서류를 반복적으로 요구받았다고 한다.
그는 처음부터 모든 서류를 종이로 제출하게 하는 방식이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큰 부담이라고 말했다.
클롬프스트라 연구원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었다. 석사 졸업 후 박사 과정으로 진학하며 비자 종류를 변경해야 했는데,
같은 서류를 여러 번 종이로 제출해야 했다며, 주변인의 도움이 없었다면 이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연구비 신청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반복되었다. IBS 내부에서는 영어 소통이 비교적 자유롭지만,
예산 지원과 같은 외부 행정 절차에서는 한국어로 된 공지사항과 복잡한 양식이 큰 걸림돌이었다.
왈케 연구원은 번역기를 사용해도 과학 용어나 행정 표현은 직역하기 어려워 정보 접근 자체가 힘들었다고 말했다.
청 멍웨이 연구원 역시 대부분의 웹사이트가 영어 버전을 제공하지만 실제 다운로드되는 자료는 대부분 한국어로 되어 있어 불편함을 느꼈다며,
이처럼 언어 장벽으로 인해 정보 접근성이 낮아지는 점이 외국인들에게 큰 허들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에서 몇 년간 머물며 다양한 경험을 쌓은 외국인 연구자들도 장기적인 미래를 고민하고 있다.
청 멍웨이 연구원은 한국 생활에 익숙해지며 여유를 즐기게 되었지만, 클롬프스트라 연구원은 졸업 후 경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앞으로도 한국에서 연구자로 남을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 중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