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전문가들 민감국가 지정 원전 연구·수출에 영향 없어

원전 전문가들 민감국가 지정 원전 연구·수출에 영향 없어

원전 전문가들 민감국가 지정 원전 연구·수출에 영향 없어

원전 전문가들 민감국가 지정 원전 연구·수출에 영향 없어

2024년 지구 기온 상승폭 1.5도 넘겨 기후 위기 현실화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차세대 원전 연구개발 R&D이나 수출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하지만 원전 전문가들은 이런 우려는 기우에 불과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공학한림원과 영국왕립공학원은 19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2025 한영 클린 에너지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워크숍은 한국과 영국의 원자력 전문가들이 모여 차세대 원자력 기술 발전 방향과 국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지만,

가장 큰 관심을 모은 건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 국가로 지정한 문제였다.

한국이 미 에너지부의 민감국가로 지정되면 국내 연구원들이 에너지부 관련 시설에 방문할 때 최소 45일 전에 신청을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차세대 원전 개발의 핵심 파트너인 미국과의 협력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하지만 이날 행사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이런 우려가 지나치다고 평가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이번 조치는 정부출연연구기관 출연연이나 정부 기관 등에 적용되는 것이라며 산업 부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출연연 역시 민감국가 지정과 상관없이 원래 45일 전에 방문 신청을 했다고 설명했다.

심형진 서울대 원자력공학부 교수도 민간 부문에서 소형모듈원전 SMR Small Modular Reactor

협력과 관련해 오히려 미국이 더 아쉬운 입장이라며 공동 연구나 연구개발 측면에서 가시적인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민감국가 지정이 실제로 이뤄지면 인허가 등 현지 사업 확장에서 걸림돌이 될 가능성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임채영 한국원자력연구원 본부장은 인허가는 받을 수 있겠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사전에 확답을 받을 수 없다는 점에서 비즈니스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워크숍에서는 차세대 원전 개발에서 한국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문도 있었다.

한국이 미 에너지부의 민감국가로 지정되면 국내 연구원들이 에너지부 관련 시설에 방문할 때 최소 45일 전에 신청을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차세대 원전 개발의 핵심 파트너인 미국과의 협력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하지만 이날 행사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이런 우려가 지나치다고 평가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이번 조치는 정부출연연구기관 출연연이나 정부 기관 등에 적용되는 것이라며 산업 부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출연연 역시 민감국가 지정과 상관없이 원래 45일 전에 방문 신청을 했다고 설명했다.

심형진 서울대 원자력공학부 교수도 민간 부문에서 소형모듈원전 SMR Small Modular Reactor 협력과 관련해

오히려 미국이 더 아쉬운 입장이라며 공동 연구나 연구개발 측면에서 가시적인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영국 국립원자력기술아카데미 명예회장인 수 이온 박사는 기조연설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전에 대한 국가 전략이 중요하다며 한국의 원전 공급망이 국제 원전 협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ad more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앞으로 기상청이 북극항로 우주방사선에 대한 특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북극항로를 비행하는 항공기의 승무원 및 승객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줄

By 관리자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4일, 양자물리학이 허용하는 최대 정밀도 수준에 도달한 길이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By 관리자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줄기세포 연구 교훈 일본의 의료혁명 vs 한국의 잃은 20년 조선비즈 장윤서, 류현정, 이정아 기자가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한국과학기자협회는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의 수상작으로 조선비즈의 기획 시리즈 ‘53.9%, 나는 고령 장애인입니다’를 포함한 5개의 기획 보도를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