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그림 색소 없이 인쇄 시간 지나도 변색 없어

조선시대 그림 색소 없이 인쇄 시간 지나도 변색 없어

조선시대 그림 색소 없이 인쇄 시간 지나도 변색 없어

조선시대 그림 색소 없이 인쇄 시간 지나도 변색 없어

우수연구원 62세 명문화 출연연 정년 연장 효과 확대

모포(Morpho) 나비는 밝게 빛나는 파란색 날개로 유명하지만 색소(色素)가 없다.

날개에 있는 광결정(光結晶)이 청색 파장의 빛만 반사하고 다른 빛은 그대로 통과시켜 파란색을 띤다.

카멜레온도 같은 방식으로 주변 환경에 맞게 피부색을 바꾼다.

명화나 문화재를 나비처럼 변색하지 않는 그래픽으로 남길 길이 열렸다.

김신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나비와 카멜레온이 색을 내는 구조색 원리를 모방해 시간이 지나도 색이 변하지 않는 고해상도의 컬러 그래픽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방법으로 조선시대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를 손톱만 한 크기로 구현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지난 5일 실렸다.

색소는 특정 파장 빛을 반사해 그 색을 낸다.

나머지 파장은 흡수해 열이 난다.

시간이 지나면 색소에 화학반응이 일어나 색이 변한다.

구조색은 물질이 아니라 광결정처럼 나노구조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기 때문에 변색이나 퇴색 없이 한 가지 소재로 다양한 색깔을 낼 수 있다.

문제는 구조색을 구현하는 규칙적인 나노구조를 구현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원하는 색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정교한 패턴을 구현해야 하는데 이 과정이 쉽지 않았다.

김신현 교수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 반구 형태의 미세구조를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빛이 밥그릇 같은 반구 형태의 미세 구조체에 들어오면 곡면을 따라 반사된다.

반구의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 1은 100만분의 1m) 안팎이면 서로 다른 경로의 빛이 가시광선 영역에서 간섭하면서 구조색이 나타난다.

연구팀은 반구의 크기에 따라 구조색을 조절하는 방법도 찾았다.

팔레트에서 물감을 섞듯 서로 다른 크기의 반구를 배열함으로써 발현 가능한 색을 무한히 늘릴 수 있다.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양성 감광성 고분자를 이용해 반구형 미세구조를 만들었다.

고분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현상액에 쉽게 용해된다.

왼쪽은 미세반구를 이용한 구조색 발현 원리.

오른쪽은 반도체 공법을 이용해 미세반구 패턴을 만드는 방법./KAIST

연구팀이 만든 초정밀 컬러 그래픽 기술은 빛의 입사 각도나 시야 각도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또 패턴의 한쪽 방향으로만 색깔을 보이고, 반대편은 투명한 특징을 갖는다.

구조색 그래픽은 최신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수준의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손톱 크기에 복잡한 컬러 그래픽도 담을 수 있다.

실제로 연구팀은 20만개의 미세반구를 이용해 손톱 크기로 조선시대 임금이 앉은 어좌 뒤에 있던 일월오봉도를 재현했다.

색소 없이 만들었기 때문에 변색이나 퇴색 없이 영구 보존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인상, 해돋이’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 같은 명화도 그대로 재현했다.

김신현 교수는 “새롭게 개발한 무색소 컬러 그래픽 구현 기술이 향후 예술과 접목해 새로운 형태의 예술 작품을 표현하는 참신한 방법이 될 수 있다”며 “광학 소자나 센서, 위변조 방지 소재, 심미성 포토카드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Read more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앞으로 기상청이 북극항로 우주방사선에 대한 특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북극항로를 비행하는 항공기의 승무원 및 승객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줄

By 관리자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4일, 양자물리학이 허용하는 최대 정밀도 수준에 도달한 길이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By 관리자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줄기세포 연구 교훈 일본의 의료혁명 vs 한국의 잃은 20년 조선비즈 장윤서, 류현정, 이정아 기자가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한국과학기자협회는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의 수상작으로 조선비즈의 기획 시리즈 ‘53.9%, 나는 고령 장애인입니다’를 포함한 5개의 기획 보도를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