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년 생존의 비밀 첨단 기술이 증명한 오징어의 고대 역사

1억 년 생존의 비밀 첨단 기술이 증명한 오징어의 고대 역사

1억 년 생존의 비밀 첨단 기술이 증명한 오징어의 고대 역사

1억 년 생존의 비밀 첨단 기술이 증명한 오징어의 고대 역사

고고학의 혁명 치석 유전자로 구현한 데니소바인 형상

오징어가 바다에서 본격적으로 번성하기 시작한 시기가 언제인지에 대해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명확한 답을 내놓기 어려웠다.

이는 부드러운 몸을 가진 오징어가 화석으로 잘 보존되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대부분의 오징어 화석은 약 4500만 년 전 이후의 것으로

그마저도 오징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쓰이는 작은 기관인 스타톨리스(statolith)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일본 홋카이도대와 싱크로트론 방사선 연구소는 '디지털 화석 채굴'이라는 첨단 기술을 활용해

약 1억 년 전의 오징어 역사를 밝혀냈다고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27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일본에서 발굴된 중생대 백악기(약 1억4600만~6600만 년 전)의 탄산염 암석을 미세하게, 10㎛ 두께로 반복적으로 연마하며 각 평면을 고해상도로 촬영했다.

이 과정에서 찍힌 수천 장의 이미지를 겹쳐 디지털 방식으로 암석을 입체적으로 복원한 결과

보이지 않았던 고대 오징어의 입 부분 화석 263점을 3차원 형태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방식은 컴퓨터단층촬영(CT)과 비슷한 원리를 적용했다. CT는 인체 내부를 X선으로 수백 장의 고해상도 단면 영상으로 찍고 이를 조합해 입체적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마찬가지로 이번 연구에서도 암석 내부 화석을 입체적으로 복원했으나, CT와 달리 암석 표면을 실제로 연마하면서

컬러 영상을 얻었기 때문에 더 정교하고 생생한 재현이 가능했다.

이렇게 복원된 화석들은 약 1억~7000만 년 전 지층에서 나온 것으로, 오징어가 백악기 초·중기부터

이미 다양한 형태로 진화했으며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포식자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초기 단계의 화석이 없어 오징어가 공룡 멸종(약 6600만 년 전) 이후에야 번성했다는 가설이 유력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그 시점이 훨씬 앞당겨졌다.

연구진은 오징어가 같은 시기에 살던 암모나이트와 물고기의 조상들보다 크고 흔했으며

이미 지능적이고 민첩한 포식자로 해양 생태계를 지배했다는 사실을 이번 연구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연구 결과, 오징어의 두 주요 그룹인 원양성 오징어(Oegopsida)와 연안성

오징어(Myopsida)가 각각 기존보다 약 1500만 년과 5500만 년 더 이른 시기에 등장했음이 드러났다.

특히 원양성 오징어는 현재와는 다른 독특한 해부학적 특징을 지녔고, 연안성 오징어는 지금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가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홋카이도대의 이바 야스히로 교수는 기존 화석 연구가 실물 표본에 의존함으로써 접근성과 재현성에 한계가 있었던 반면

이번에는 채굴부터 분석 과정 전반을 디지털화하고 이를 모두 공개함으로써 연구 투명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이런 방식이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획기적인 과학적 발견을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ad more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앞으로 기상청이 북극항로 우주방사선에 대한 특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북극항로를 비행하는 항공기의 승무원 및 승객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줄

By 관리자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4일, 양자물리학이 허용하는 최대 정밀도 수준에 도달한 길이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By 관리자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줄기세포 연구 교훈 일본의 의료혁명 vs 한국의 잃은 20년 조선비즈 장윤서, 류현정, 이정아 기자가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한국과학기자협회는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의 수상작으로 조선비즈의 기획 시리즈 ‘53.9%, 나는 고령 장애인입니다’를 포함한 5개의 기획 보도를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