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8000년 전 혼혈 인류 라페도 아이 살았다

2만8000년 전 혼혈 인류 라페도 아이 살았다

2만8000년 전 혼혈 인류 라페도 아이 살았다

2만8000년 전 혼혈 인류 라페도 아이 살았다

빛으로 찰나의 전기 입자 제어 차세대 전자소자에 응용 기대

현생인류의 직계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는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에 먼저 정착한 네안데르탈인과 한동안 공존했다

그 사이 서로 피도 나눴다

그렇다면 두 인류는 언제부터, 그리고 얼마나 오랫동안 교류했을까

그 해답을 쥐고 있는 중요한 단서인 라페도 아이의 연대가 최첨단 기술로 새롭게 밝혀졌다

베선 린스콧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연구진이 최첨단 탄소 동위원소 연대측정 기법을 이용해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섞인 화석 인류 라페도 아이의 생존 시기를 약 2만7780년에서 2만8850년 전 사이로 추정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8일 게재됐다

라페도 아이는 1998년 포르투갈 중부 라페도 계곡의 한 절벽 아래에서 우연히 발견됐다

당시 학생들이 탐사 도중 바위 아래에서 작은 동굴을 발견했는데, 여기서 4~5세 정도로 추정되는 어린아이 유골이 거의 온전한 상태로 발굴됐다

이 유골이 특별한 이유는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이다

두 인류 집단 간에 유전적 교류가 있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로 평가된다

과학자들은 탄소 동위원소 연대 측정으로 유골의 나이를 알아낸다

탄소는 질량이 12인 것과 14인 것이 있다

바로 탄소동위원소다

자연에는 탄소12와 14가 일정한 비율로 있는데 시간이 갈수록 탄소14의 양만 일정한 속도로 줄어든다

보통 유골의 뼈에서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을 추출해 탄소 동위원소의 비율을 측정해 연대를 추정한다

연구진은 앞서 네 차례에 걸쳐 탄소 동위원소 연대 측정을 시도했으나, 유골의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었다

오래된 유골은 보존 상태가 나빠 콜라겐이 거의 남아 있지 않거나 오염됐을 가능성이 크다

연구진은 기존 방식보다 더 정밀한 수산화 프롤린 연대측정법을 도입했다

콜라겐을 이루는 특정 아미노산인 프롤린만 추출해 탄소의 동위원소를 분석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라페도 아이의 오른쪽 팔뼈에서 프롤린을 추출해 연대 측정을 한 결과, 유골의 연대가 약 2만7780년에서 2만8850년 전 사이로 나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진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인류 집단이 언제부터 피를 나눴는지 추적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안에는 네안데르탈인의 흔적이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의 스반테 페보 교수는 서로 다른 인류 조상들이 피를 나눴음을 밝혀내 2022년 노벨 의학상을 받았다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해독해 현생인류와 비교했더니 오늘날 아시아인과 유럽인은 누구나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1~2% 갖고 있었다

지난해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와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은 각각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의 첫 혼혈 시기는 4만9000~4만5000년 전이라고 밝혔다

이후 7000여 년간 두 인류 간 교류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Read more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북극 상공 방사선 위험 기상청 항공 항해 경로 변경 권고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앞으로 기상청이 북극항로 우주방사선에 대한 특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북극항로를 비행하는 항공기의 승무원 및 승객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줄

By 관리자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세계 최초 기록 양자 수준 정확도의 길이 측정 기술 개발 성공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4일, 양자물리학이 허용하는 최대 정밀도 수준에 도달한 길이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By 관리자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조선비즈 고령 장애인 특집 과학취재상 받아 줄기세포 연구 교훈 일본의 의료혁명 vs 한국의 잃은 20년 조선비즈 장윤서, 류현정, 이정아 기자가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한국과학기자협회는 ‘2025년 상반기 과학취재상’의 수상작으로 조선비즈의 기획 시리즈 ‘53.9%, 나는 고령 장애인입니다’를 포함한 5개의 기획 보도를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