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뇌가 커진 이유 뱃속 미생물 덕분

인간의 뇌가 커진 이유 뱃속 미생물 덕분

인간의 뇌가 커진 이유 뱃속 미생물 덕분

인간의 뇌가 커진 이유 뱃속 미생물 덕분

우주 공학자 꿈에 한걸음 더 美 우주개발 최전선 탐방

과학자들은 인간의 뇌가 커진 것은 불로 조리한 밥 덕분이라고 말한다.

음식을 익혀 먹으면 소화가 더 잘되고, 열량 흡수량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소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도 큰 역할을 했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진은 지난 2일(현지 시각) 영장류 실험을 통해 인간의 뇌 진화에서 장내 미생물이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 학술지 ‘미생물 유전체학(Microbial Genomics)’에 게재됐다.

뇌는 신체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기관이다.

큰 뇌를 가진 포유류는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만, 인류 조상이 점차 커진 뇌의 에너지 요구를 어떻게 충족했는지는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있었다.

연구진은 소화계에서 음식을 분해하고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장내 미생물에 주목했다.

장내 미생물은 소화기관에 살고 있는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각종 미생물을 일컫는 말이다.

지금까지 인간의 장내 미생물은 대사와 면역뿐 아니라 암, 스트레스와 뇌 질환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졌다.

장내 미생물은 뇌와 장을 연결하는 통로라고 확인됐다.

연구진은 큰 뇌를 가진 영장류인 인간과 다람쥐원숭이, 그리고 작은 뇌를 가진 영장류

긴꼬리원숭이(마카크)의 장내 미생물을 각각 장내 미생물이 없는 실험용 쥐에 이식하는 실험을 했다.

다람쥐원숭이의 뇌와 체중의 비는 1:17로, 모든 영장류 중 비율면에서 뇌가 가장 크다. 참고로 사람은 1:35 이다

실험 결과, 큰 뇌를 가진 영장류의 미생물을 이식받은 쥐는 에너지를 더 많이 만들고 사용했지만,

작은 뇌를 가진 영장류의 미생물을 이식받으면 에너지를 지방으로 저장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장내 미생물이 동물의 에너지 소비 방식을 변화시켰고, 뇌 발달에 필요한 에너지 생산에도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캐서린 아마토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당초 인간의 장내 미생물을 가진 쥐가 다른 두 영장류의 미생물을 가진 쥐와 큰 차이를 보일 것이라 예상했으나,

큰 뇌를 가진 영장류와 작은 뇌를 가진 영장류의 장내 미생물을 각각 가진 쥐 사이의 차이가 눈에 띄게 컸다”고 설명했다.

인간과 다람쥐원숭이는 체중에서 뇌가 차지하는 비율이 비슷하지만, 가까운 친척은 아니다.

즉 뇌 크기는 따로 진화했지만 장내 미생물이 비슷한 방식으로 적응한 것이다.

아마토 교수는 “인간과 다람쥐원숭이의 뇌가 각각 독립적으로 커질 때, 그들의 장내 미생물 군집이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비슷한 방식으로 변화했다는 것”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뇌 크기를 가진 영장류의 미생물을 활용해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