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만든 AI 화가 미술 시장을 뒤흔들다
인간이 만든 AI 화가 미술 시장을 뒤흔들다
지난 2018년 10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한 미술품 경매에서 당시까지 한 번도 없던 일이 벌어졌다.
인공지능(AI)이 그린 초상화가 43만2000달러(약 6억원)에 낙찰된 것이다.
작품을 내놓은 곳은 프랑스 예술품 업체 ‘오비어스 아트’. 이들은 14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 나온
초상화 1만5000장을 심층학습(딥러닝)시켜 개발한 인공지능(AI)으로 초상화를 그렸다.
당시 경매를 진행한 경매회사 관계자는 “AI가 앞으로 예술계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 말했다.
그 예상은 4년 뒤 현실이 됐다. 지난달 26일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열린 미술 박람회에서 ‘스페이스 오페라 극장’이란 제목의
그림이 디지털아트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작가 이름은 ‘미드저니를 사용한 제이슨 앨런(Jason M. Allen via Midjourney)’이었다.
미드저니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에 맞춰 그림을 그려주는 AI 프로그램이다.
‘스페이스 오페라 극장’은 앨런이 직접 손으로 그린 게 아니라,
AI가 앨런이 입력한 명령어에 맞춰 대신 그려준 그림이었던 것이다.
앨런과 AI의 합작품이 우승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곧바로 ‘부정행위 아니냐’는 지적이 일었다.
이에 앨런은 “작품을 낼 때 미드저니를 썼다고 밝혔으니 문제 없다”며 “AI가 인간을 이긴 것”이라며 맞섰다.
끝내 콜로라도 주정부까지 나서 상황을 진정시켰다.
올가 로백 콜로라도 주정부 대변인은 “디지털아트 부문 규칙에 따르면 디지털 기술을 창작 과정에 사용할 수 있다”라며
“심사위원들은 앨런의 작품이 AI가 그린 줄 몰랐지만, 이를 알았다 해도 앨런이 우승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앨런은 1등 상금으로 300달러(한화 약 42만원)를 받았다.
미드저니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엔지니어 출신인 데이비드 홀츠가 개발한 ‘AI 화가’ 프로그램이다.
2012년까지 NASA에서 일했던 그는 자기 삶과 아무 상관도 없는 물건들을 개발하는 데 싫증을 느껴 일터를 옮겼다.
이후 손동작을 인식해 컴퓨터 명령어를 입력하는 기술 등을 개발하던 중, 미드저니를 만들기 위해 2021년 새로 회사를 차렸다.
홀츠는 한 외신과 인터뷰에서 미드저니를 개발한 이유에 대해 “2021년 전후로 AI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
그리고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큰 폭으로 발전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1~2년 안에 30프레임에 달하는 고화질 이미지를 초 단위로 만들어내는 것까지 가능할 것”이라며
“가격이 비싸겠지만 분명 실현 가능한 기술이다”라고 말했다.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빠르게 만드는 AI 기술에 시장성이 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미드저니는 딥러닝 AI에 수억에서 수십억개에 달하는 인터넷 이미지를 학습시켜 만든 프로그램이다.
단순히 키워드에 맞는 이미지를 찾아주는 게 아니라, 키워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들을 AI가 뒤섞은 다음 새로운 이미지를 그려내는 식으로 작동한다.
지난 7월 미드저니는 온라인 메신저 프로그램 ‘디스코드’를 서버를 통해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채팅창에 명령어 ‘/imagine(상상하다)’과 함께 자신이 원하는 그림 키워드를 입력하면 30초쯤 되는 시간 만에 그림 4개를 그려준다.
그림 4개 중 마음에 드는 것을 골라 구도가 비슷한 그림을 더 만들거나 품질을 높일 수도 있다.
그러나 아직 사용자의 요구를 정확히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명령어를 통해 ‘고대 로마’의 모습을 그려 달라고 한 뒤 30분에 걸쳐 그림 구도를 바꾸거나 품질을 높여봤지만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콜로세움과 성 베드로 대성당 등 고대 로마를 상징하는 건축물들은 사진을 오려 붙인 듯 어색한 모습이었다.
나무와 같은 주변 사물들은 형태가 뭉개져 있었다.
무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명령 횟수 25번을 전부 썼지만 끝내 마음에 드는 그림은 얻지 못했다.
직접 사용해본 미드저니는 ‘복불복’이 강한 프로그램이었다.
원하는 그림을 요청한다기보다는, AI가 만들어낸 결과물들 중 자신이 생각한 것이 그나마 가장 잘 반영된 그림을 고르는 것에 가까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