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의 빈틈 드론이 메운다 한컴과 항우연 1호 기업의 시너지
위성의 빈틈 드론이 메운다 한컴과 항우연 1호 기업의 시너지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가 1957년 발사된 이후 인공위성은 줄곧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볼 수 있는 인류의 눈이 됐다.
한국도 1992년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를 쏘아 올리며 위성을 본격적으로 운용하는 국가 대열에 합류했다.
현재 운용 중인 위성을 보유한 나라만 50곳 이상, 지구 궤도로 날아가는 위성은 연간 1000대 이상이다.
인공위성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지구관측에는 한계가 있다.
위성은 궤도를 따라 돌기 때문에 특정 지역을 계속 감시할 수 없다.
지상으로부터 500㎞ 떨어진 상공에서 내려다보기 때문에 위성 성능이 떨어지면 정밀한 관측이 어렵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소형 군집위성이나 초저궤도 위성이 개발되고 있지만, 많은 위성을 만들어야 하고 위성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점에서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위성의 한계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주목받는 것이 드론이다.
위성보다 훨씬 낮은 고도에서 특정 지역을 정밀하게 관측하는 데 드론이 제격이라는 평가다.
대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도의 영상 교정 기술이 필요하지만, 부동산·금융·치안·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람이 직접 조종하지 않고도 명령어만으로 드론을 동작시키는 기술도 개발돼 활용 가능성이 더 커지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출신으로 ‘1호 창업기업’을 만든 최명진 한컴인스페이스 대표는 위성과 드론의 시너지를 만들고 있다.
최 대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응용수학 박사 학위를 받고 항우연에서 다목적실용위성 2호(아리랑 2호)의 위성
영상을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다 2012년 인스페이스를 창업했다. 조선비즈는 지난달 29일 경기
성남시 판교 한컴 본사에서 최 대표를 만나 업력 11년이라는 잔뼈 굵은 우주 기업이 된 비결을 물었다.
위성과 드론을 함께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하다.
“한컴인스페이스는 위성과 드론, 지상 카메라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서 고객사에 정보를 제공하는 회사다.
인공위성은 발사까지만 어렵지 이후로는 관측하는 데에는 편하다. 하지만 상시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
군집위성 수백 대를 띄우는 건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이런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게 드론이다.
언제든 띄울 수 있고, 초고해상도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위성과 드론을 둘 다 잘 다루면 영상을 분석하는 기업으로서는 최고다.”
드론샛(DroneSAT)을 개발했다. 어떤 역할을 하나.
“드론을 사용하면서 아쉬웠던 건 2012년에는 ‘멀티콥터’가 아니었다.
대기 영향을 받았고 바람에 몇 천만 원짜리 장비가 쉽게 망가졌다.
하지만 지금은 드론 기술이 발달했고, 영상 분석 분야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고 봤다.
그러던 중에 해외 전시회에서 드론 스테이션 시스템을 봤다. 거기에 영감을 받아 관련 기술을 개발했고, 국내외에 특허를 냈다.
드론과 스테이션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해 마치 위성처럼 관측에 활용할 수 있다고 해서 ‘드론샛’으로 이름을 붙였다.
스테이션에서 자동 충전하고 명령어만 날리면 촬영하고 데이터도 보낸다. 군 드론전략사령부나 소방, 환경 관련 공공기관에 납품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자체 개발한 위성 ‘세종 1호’를 우주로 보냈다.
“한컴인스페이스는 큐브위성이 아닌 초소형위성을 만든다. 초소형위성은 무게 500㎏ 이하로, 30㎏ 이하의 큐브위성보다는 더 큰 개념이다.
특히 공간 해상도보다는 분광 해상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개발하고 있다.
공간 해상도가 10m 정도로 낮아도 분광 해상도가 좋으면 위성이 받는 신호를 많이 분석할 수 있어서 대상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세종 1호는 한컴인스페이스가 개발한 기술의 성능을 시험해보는 차원에서 발사했다.
처음엔 좋은 영상이 나올까 궁금했지만, 결과물에 대해 해외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