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도 위성 다운스트림 진출 본격화 치열해지는 위성 산업

KAI도 위성 다운스트림 진출 본격화 치열해지는 위성 산업

KAI도 위성 다운스트림 진출 본격화 치열해지는 위성 산업

KAI도 위성 다운스트림 진출 본격화 치열해지는 위성 산업

사람들은 셰익스피어 디킨슨의 시보다 AI의 시를 더 좋아했다

위성 활용 서비스 산업인 ‘다운스트림’ 시장을 둘러싼 국내 기업 간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기존 우주기업뿐 아니라 우주발사체와 위성 제작에 힘을 쏟던 한국항공우주

(65,400원 500 -0.76%)(KAI)까지 본격적으로 위성 활용 시장에 뛰어들었다.

전문가들은 국내 우주 기업들이 살아남으려면 수요가 한정적인 국내 시장을 벗어나 해외로 진출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18일 항공우주업계에 따르면 KAI는 다운스트림 관련 기업들을 인수하면서 위성 제조에서 서비스까지 사업 수직계열화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회사는 지난 7일 항공전자·위성통신 전문기업인 제노코를 인수했다.

앞서 지난 9월에는 영상분석 전문 기업 메이사에 10억원을 추가 투자하면서 투자 총액 77억6000만원으로 2대 주주에 올라 있다.

위성 산업은 크게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으로 구분한다.

업스트림은 위성 제작과 발사체 운영처럼 위성을 지구에서 우주 궤도로 올리는 산업이다.

반면 다운스트림은 지구에서 위성을 운용하거나 위성의 데이터를 내려 받아 가공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위성을 활용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새로운 상품을 만드는 모든 일이 다운스트림에 포함된다.

KAI는 제노코 인수와 메이사 투자 확대를 통해 다운스트림 산업으로 확장을 꾀하고 있다.

제노코는 위성 운용을 위한 지상국 부품과 설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메이사는 위성 데이터 분석을 위한 영상 기술을 갖고 있다.

2022년 KAI와 합작법인 메이사 플래닛을 설립하고 위성영상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AI는 그간 위성 업스트림 기술 확보에 주력해왔다.

지난 30년간 지구 저궤도의 다목적 실용위성과 정지궤도의 복합 위성을 개발했으며, 최근에는 차세대 중형위성 사업에 참여해 고성능 위성 플랫폼 개발에 성공했다.

KAI가 개발한 차세대 중형위성 1호는 2021년 3월 발사에 성공했으며, 후속 모델인 2~5호도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발사될 예정이다.

하지만 항공우주 업계는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인 뉴스페이스(new space)를 이끌 산업 분야로 위성 다운스트림을 꼽고 있다.

그만큼 우주기업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면 다운스트림으로의 확장이 필수적이다.

안형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센터장(직무대리)은

“다운스트림은 전체 우주 산업 분야에서 발사체, 업스트림 시장에 비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위성산업연합(SIA) 자료에 따르면 2022년 3840억달러(한화 535조3728억원) 규모의 글로벌 우주 시장은 위성 분야가 73%를 차지했는데 이 중 발사체, 위성 제조는 6%에 그쳤다.

나머지는 지상장비와 위성서비스가 각각 38%, 29%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2022년 국내 우주기업의 전체 매출 2조9518억8600만원 중 ‘우주활용’ 분야가 2조3162억1900만원으로 전체의 78.5%를 차지했다.

반면 위성과 발사체 제작을 비롯한 ‘우주기기제작’ 분야는 6356억6700만원으로 산업 전체의 21.5%에 머물렀다.

KAI가 본격적으로 다운스트림 산업에 진출하면서 국내 위성 산업의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위성 다운스트림 사업은 한화, 컨텍(12,350원 470 -3.67%), 나라스페이스, 텔레픽스를 비롯해 이미 다수의 기업이 진출해 있다.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